- 기존 기술 : 철분 제거 공정의 문제점
· 채광된 납석 속 철분은 자성이 약해서, 분리가 어려움
· 기존 정제 기술(탄소 환원제 사용)은 탄소 불순물이 발생하여, 후처리 공정 필요
- 기존 기술 : 석영 분리법의 문제점
· 기존 정제법에 사용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납석/석영을 구분없이 소수성화 진행
· 이로 인해 선택적인 원석 선별이 어려움
- 기존 유리 기판 제조법의 문제점
· 유기 기판 함량의 79%를 차지하는 원재료(순수 알루미나/실리카)의 비싼 가격으로 인해, 유리 기판 제조 원가가 상승
기술 특장점
- 대상 납석 정제 기술의 특장점
· 배소 과정에서 탄소(환원제) 대신 산소를 사용하여, 탄소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음
· 납석에 소량 함유된 철분은 (온도에 따라) 최초 함량 대비 72% ~ 85 % 제거 가능
·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선택적 선별 (석영 침강/ 엽납석 부유) 가능
- 대상 유리 기판 제조 기술의 특장점
· 고비용 원재료인 실리카/알루미나를 저렴한 납석으로 대체
· 이를 통해 제조 원가를 절감하여, 가격 경쟁력을 확보
· 제작된 유리 기판의 제품 물성은 일반 유리 기반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
기술 구현
- 납석의 철 불순물 제거 공정 흐름도 (좌) / 품위 향상 공정 흐름도 (우)
시장동향
- 세계 납석시장은 151 백 만 달러(’21) → 224 백 만 달러(’27) 성장 전망 (CAGR :5.7%)
· 세라믹 분리막 (MBR)는 원재료로 납석을 사용
· 세라믹 분리막은 폐수·폐유 처리 같은 극한 환경에서, 고분자 분리막 보다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보유
· 기능적 우위와 친환경 흐름으로 인해, 세라믹 분리막 시장은 지속적 성장 예상
시장동향
- 국내 광물 생산은 2018년 약 2조원 규모 (10년간 연평균 3% 증가) * 산업통상자원부 ‘제3차 광업 기본계획 中 (2020~2029년)
· 최근 고품위 자원 고갈, 환경 규제, 채산성 악화로 생산이 크게 위축
· 이로 인해 광물의 고품위화(정재 기술) 수요 확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