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가신청

상담신청

신청확인

출품기술

  1. 로그인
  2. 회원가입
행사안내
출품기술
유망기술
기술상담신청
Q&A

출품기술

국내산 납성광물의 산업원료화 기술
분야
에너지/자원

국내산 납성광물의 산업원료화 기술

보유기관 및 연구자 :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완태

개발상태
4/9

기술완성도

TRL09

사업화

  •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
TRL08

시작품 인증/
표준화

  • 일부 시제품의 인증 및 인허가 취득 단계
    -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, 의약품의 경우 식약청의 품목 허가 등
TRL07

Pilot 단계 시작품
신뢰성 평가

  • 시작품의 신뢰성 평가
  • 실제 환경(수요기업)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
TRL06

Pilot 단계 시작품
성능 평가
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한, 파일로트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
  • 시작품 성능평가
TRL05

시제품 제작/
성능평가

  • 개발한 부품/시스템의 시작품(Prototype) 제작 및 성능 평가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하지 않고, 우수한 시작품을 1개~수개 미만으로 개발
TRL04

연구실 규모의
부품/시스템 성능평가

  • 연구실 규모의 부품/시스템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
  • 실용화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확보
TRL03

연구실 규모의
성능 검증

  • 연구실/실험실 규모의 환경에서 기본 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
  • 개발하려는 시스템/부품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
  • 모델링/설계기술 확보
TRL02

실용 목적의 아이디어/
특허 등 개념 정립

  •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 특허 등 개념 정립
TRL01

기초 이론/
실험

  • 연구과제 탐색 및 기회 발굴 단계
특허정보
  • 납석의 철 불순물 제거방법 (No : 10-2050404)
  • 납석 기반 스마트 글라스 제조 방법 (No : 10-2104550)
  • 엽납석 품위 향상 방법 (No : 10-2134814)

거래 조건 :
별도협의
상담신청 기술문의

기술개요

- 납석에 붙어있는 석영 혹은 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

- 디스플레이 유리 기판의 고가의 원재료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납석으로 대체하는 기술

기술활용분야

- 분리막

- 디스플레이

- 페인트

기존 문제점

- 기존 기술 : 철분 제거 공정의 문제점
· 채광된 납석 속 철분은 자성이 약해서, 분리가 어려움
· 기존 정제 기술(탄소 환원제 사용)은 탄소 불순물이 발생하여, 후처리 공정 필요

- 기존 기술 : 석영 분리법의 문제점
· 기존 정제법에 사용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납석/석영을 구분없이 소수성화 진행
· 이로 인해 선택적인 원석 선별이 어려움

- 기존 유리 기판 제조법의 문제점
· 유기 기판 함량의 79%를 차지하는 원재료(순수 알루미나/실리카)의 비싼 가격으로 인해, 유리 기판 제조 원가가 상승

기술 특장점

- 대상 납석 정제 기술의 특장점
· 배소 과정에서 탄소(환원제) 대신 산소를 사용하여, 탄소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음
· 납석에 소량 함유된 철분은 (온도에 따라) 최초 함량 대비 72% ~ 85 % 제거 가능
·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선택적 선별 (석영 침강/ 엽납석 부유) 가능

- 대상 유리 기판 제조 기술의 특장점
· 고비용 원재료인 실리카/알루미나를 저렴한 납석으로 대체
· 이를 통해 제조 원가를 절감하여, 가격 경쟁력을 확보
· 제작된 유리 기판의 제품 물성은 일반 유리 기반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

기술 구현

- 납석의 철 불순물 제거 공정 흐름도 (좌) / 품위 향상 공정 흐름도 (우)

시장동향

- 세계 납석시장은 151 백 만 달러(’21) → 224 백 만 달러(’27) 성장 전망 (CAGR :5.7%)
· 세라믹 분리막 (MBR)는 원재료로 납석을 사용
· 세라믹 분리막은 폐수·폐유 처리 같은 극한 환경에서, 고분자 분리막 보다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보유
· 기능적 우위와 친환경 흐름으로 인해, 세라믹 분리막 시장은 지속적 성장 예상

시장동향

- 국내 광물 생산은 2018년 약 2조원 규모 (10년간 연평균 3% 증가) * 산업통상자원부 ‘제3차 광업 기본계획 中 (2020~2029년)
· 최근 고품위 자원 고갈, 환경 규제, 채산성 악화로 생산이 크게 위축
· 이로 인해 광물의 고품위화(정재 기술) 수요 확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