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가신청

상담신청

신청확인

출품기술

  1. 로그인
  2. 회원가입
행사안내
출품기술
유망기술
기술상담신청
Q&A

출품기술

벤토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
분야
에너지/자원

벤토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

보유기관 및 연구자 :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서성만

개발상태
4/9

기술완성도

TRL09

사업화

  •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
TRL08

시작품 인증/
표준화

  • 일부 시제품의 인증 및 인허가 취득 단계
    -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, 의약품의 경우 식약청의 품목 허가 등
TRL07

Pilot 단계 시작품
신뢰성 평가

  • 시작품의 신뢰성 평가
  • 실제 환경(수요기업)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
TRL06

Pilot 단계 시작품
성능 평가
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한, 파일로트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
  • 시작품 성능평가
TRL05

시제품 제작/
성능평가

  • 개발한 부품/시스템의 시작품(Prototype) 제작 및 성능 평가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하지 않고, 우수한 시작품을 1개~수개 미만으로 개발
TRL04

연구실 규모의
부품/시스템 성능평가

  • 연구실 규모의 부품/시스템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
  • 실용화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확보
TRL03

연구실 규모의
성능 검증

  • 연구실/실험실 규모의 환경에서 기본 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
  • 개발하려는 시스템/부품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
  • 모델링/설계기술 확보
TRL02

실용 목적의 아이디어/
특허 등 개념 정립

  •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 특허 등 개념 정립
TRL01

기초 이론/
실험

  • 연구과제 탐색 및 기회 발굴 단계
특허정보
  • 벤토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(No : 10-2077047)

거래 조건 :
별도협의
상담신청 기술문의

기술개요

- 입도가 0.1~0.5μm인 칼슘형/마그네슘형 벤토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

기술활용분야

- 화장품
ㆍ세안제, 색조화장품

기술 개발 필요성

-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 스테로이드제, 비스테로이드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
→ 따라서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치료효과가 높은 새로운 물질 발견 필요성 有

- 벤토나이트 자체를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및 치료에 대한 연구 미흡

기술 특장점

- 항염증 : 피부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TNF-α, COX-2, IL-6, IL-8, IL-10 및 MCP-1 등의 염증기전 단백질 발현 감소로 염증 반응 억제 효과 확인

- 항아토피 : 인체유래 HaCaT 피부각질세포주 및 HS68 진피세포주에서 칼슘계와 마그네슘계 벤토나이트의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 확인

- 피부보습 : 벤토나이트를 처리한 인체 피부에서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, 수분 함량 증가 확인

- 피부미백 : 벤토나이트를 처리한 인체 피부에서 피부 밝기 및 황색도 증가, 적색도 감소로 피부의 명도를 밝히는 미백과 피부톤 개선 효과 확인

기술 구현

- 피부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기전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켜 염증반응을 억제해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제공

- 벤토나이트는 각질세포 및 진피세포에서 염증기전 단백질 TNF-α, COX-2, IL-6, IL-8, IL-10, MCP-1의 발현 감소 가능

- 벤토나이트 자체의 염증반응 억제효과 및 아토피 피부염 치료효과 발견 → 특히 칼슘계 벤토나이트, 마그네슘계 벤토나이트에서 효과 발견

기술 구현

- 벤토나이트의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

- 면역 활성 물질로 유발된 진피세포군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유전자 발현량 감소 → 항아토피 효과 검증

- CCL17의 경우 0.1~0.5μm 입도의 벤토나이트 처리 시 양성대조군 대비 약 58배 억제

시장동향

- (세계 벤토나이트 시장) 2,570만 메트릭톤(’20) → 3,000만 메트릭톤(’27)
ㆍ애완동물 가족화, 동물 위생 관리에 대한 관심 상승, 세계적인 철강 생산량 증가에 의해 시장 촉진

- (세계 화장품 시장) 128억 달러(’20) → 206억 달러(’26)

- (국내 화장품 시장) 7조 1,000억 원(’12) → 16조 3,000억원(’19)으로 2배 이상 성장 (식품의약품안전처, 2020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, 2020)

시장동향

- (세계 아토피 피부염 시장) 64억 달러(’19) → 99억 달러(’24)
ㆍ주요 식품 알레르기에 따른 알레르기 반응 증가,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정부 지출 증가, 아토피 피부염 인식 제고를 위한 캠페인 확대에 의해 시장 촉진

- (세계 염증 치료제 시장) 950억 달러(’19) → 1,226억 달러(’25)
ㆍ염증성 질환의 유병률 증가,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천식 치료를 위한 염증제 섭취 증가, 아토피성 피부염 유병률 증가에 의한 시장 촉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