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가신청

상담신청

신청확인

출품기술

  1. 로그인
  2. 회원가입
행사안내
출품기술
유망기술
기술상담신청
Q&A

출품기술

텅스텐 카비이드 스크랩의 파쇄방법, 산화구리의 회수방법 및 텅스텐과 코발트의 회수방법
분야
에너지/자원

텅스텐 카비이드 스크랩의 파쇄방법, 산화구리의 회수방법 및 텅스텐과 코발트의 회수방법

보유기관 및 연구자 :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서용재

개발상태
3/9

기술완성도

TRL09

사업화

  •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
TRL08

시작품 인증/
표준화

  • 일부 시제품의 인증 및 인허가 취득 단계
    -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, 의약품의 경우 식약청의 품목 허가 등
TRL07

Pilot 단계 시작품
신뢰성 평가

  • 시작품의 신뢰성 평가
  • 실제 환경(수요기업)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
TRL06

Pilot 단계 시작품
성능 평가
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한, 파일로트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
  • 시작품 성능평가
TRL05

시제품 제작/
성능평가

  • 개발한 부품/시스템의 시작품(Prototype) 제작 및 성능 평가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하지 않고, 우수한 시작품을 1개~수개 미만으로 개발
TRL04

연구실 규모의
부품/시스템 성능평가

  • 연구실 규모의 부품/시스템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
  • 실용화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확보
TRL03

연구실 규모의
성능 검증

  • 연구실/실험실 규모의 환경에서 기본 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
  • 개발하려는 시스템/부품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
  • 모델링/설계기술 확보
TRL02

실용 목적의 아이디어/
특허 등 개념 정립

  •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 특허 등 개념 정립
TRL01

기초 이론/
실험

  • 연구과제 탐색 및 기회 발굴 단계
특허정보
  • 텅스텐 카바이드 스크랩의 파쇄 방법, 산화구리의 회수방법 및 텅스텐과 코발트의 회수방법 (No : 10-2133278)
  • 페로텅스텐 제조방법 및 페로텅스텐 제조용 조성물 (No : 10-1818989)
  • ZrC 첨가에 의해 입자 성장이 억제된 TiC-ZrC-Ni 서메트의 제조방법 (No : 10-1790967)
  • 탄질화티타늄-텅스텐 소결체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탄질화티타늄-텅스텐 소결체 (No : 10-1694528)

거래 조건 :
별도협의
상담신청 기술문의

기술개요

- 산화 구리 분말을 이용하여 파쇄하는 방법으로 스크랩 분말로부터 산화구리·텅스텐·코발트를 높은 수율로 회수할 수 있는 공정 기술

기술활용분야

- 공구·철강

- 자동차·항공 부품

- 금속가공산업

기존 문제점

- 기존 기술인 아연합금은 최소 2번 이상의 공정과 장시간(3~4시간)으로 금속을 추출해야 하는 단점 존재

- 하드 텅스텐 카바이드의 스크랩을 파쇄하는 기술력 부족으로 재활용 불가

- 마모에 의한 손상이나 결함이 발생해 재료가 완전히 소모되기 전 대부분 폐기

- 에너지 소모율이 높고 장시간의 공정시간으로 회수에 많은 비용이 소모

- 아연법, 화학처리법, 전기분해법, 금속 플럭스 합금법 등의 기존 기술들은 최소 2번 이상의 장시간(3~4시간) 공정으로 에너지 소모가 높음

- 진공상태에서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일부 텅스텐 카바이드가 잔존

기술 특장점

- 하드 텅스텐 카바이드의 손쉬운 파쇄 가능 (산화구리 분말 첨가 방법)
· 수율이 98%인 텅스텐/코발트의 회수 방법 제시
→ 온도유지 필요가 없으며 에너지 효율 높음

- 하드 텅스텐 카바이드 스크랩에 산화구리 분말을 첨가하여 스펀지 형태로 변환시켜 단시간의 높은 에너지 효율 및 고수율로 회수하는 방법 및 파쇄 방법
· 단순한 공정으로 조업시간을 단축 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율 적음
· 산화구리 배소가 1200℃ 이하의 조건에서 이루어져 진공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
· 산화구리 분말의 재사용으로 재료비 절감과 금속 산화물로부터 텅스텐과 코발트를 고수율(98%)로 회수 가능
→ 산화구리분말과의 최초 반응 이후 온도유지 필요가 없으며 에너지 효율 높음

시장동향

- (세계 시장) 9.68억 달러(‘19) → 12.2억 달러(’26)

- (국내 수입동향) 75백 톤(‘17) → 113백 톤(‘24)

- 텅스텐 산업은 핵심광물로 초경합금·반도체 금속 배선의 주요 재료로 지속 성장 전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