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용매 추출 공정에는 대표적으로 혼합 침강형 추출기 사용
① 용매추출 공정 전 조건 확립을 위한 용액 분석
② 용매추출 공정 중 불순물 제어를 위한 공정 분석
③ 과도한 세정공정으로 용액 중 농도 저하 및 생산성 저하
→ 공정 분석 및 운전 자동화로 고순도 고효율 생산공정 필요
- 희토류 농도 분석 장비
· (IPC) 고가의 장비, 소형화 또는 단순화로 현장 설치 어렵고, 별도의 희석 공정 요구
· (XRF 및 UV-VIS) 정확성은 높으나, 연속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용액의 이송과 세척 등에 문제점 존재
기술 특장점
- 용매 추출 공정 Online 분석으로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
·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농도, pH 모니터링 가능
· 금속이온의 불순물 최소화 및 생산성 극대화 가능
- 스마트 제련기술 적용을 통한 고효율 용매추출 공정기술 개발
· Online 공정 분석으로 오류 사전 인지 및 선제적 조치 가능
· 기존 운용 DATA 분석을 통한 효율적 조절 시스템 구축 가능
- AI기술(Deep learning, Machine learning) 적용 가능성 검토
· 모니터링을 통한 운전 DATA 축적으로 인공지능형 제어시스템 적용
· 이미지(색상) 인식기술을 통한 용매추출기 자동 운전기술 적용
- 세계 희토류 금속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 12.5%로 ‘21년 55.7억 달러 → ‘26년 100.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
· 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, 풍력발전, 태양열 발전 등 21세기 저탄소 녹색성장에 필수적인 영구자석 제작에 꼭 필요한 물질
시장동향
- 세계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 27.2%로 ‘21년 35.1백억 달러 → ‘26년 116.7백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
· 잔류성 및 높은 보자력을 가진 영구 자석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, 기존 차량과 전기 자동차 금속 채택 증가로 시장 성장 촉진
- 세계 광섬유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 11.5%로 ‘21년 54.4억 달러 → ‘26년 93.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
· IT산업(LCD, LED, 스마트 폰 등), 전자제품(카메라, 컴퓨터 등), 형광체(CRT, 형광램프 등), 광섬유 등에 희토류 금속은 필수적인 요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