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토목 건설, 광업, 정밀 농업, 군사, 유적지 관리 분야 등 활용 가능
<기존기술 한계>
- 건설 산업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 필요성 증대
→ 국내 건설은 생산성이 낮은 상황에서 고령화, 근로시간 단축 및 숙련 인력 감소 등 사회 흐름에 따른 건설산업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
- 스마트 건설 시장 급 성장 중(2016년 기준, 100억 달러 규모, CAGR 12%)
→ 선진국은 BIM의무화, 건설장비 자동화, 드론 적용 등 첨단기술 투자 및 관련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
<개발기술 특성>
·드론 촬영 현장에서 서비스 제공까지 단일 프로세싱 서비스 구축
- 현장 가상화, 변화 모니터링, 시공기록 및 관리, 3차원 지형 단면도, 토공량 측정 가능
→ 다양한 데이터 타입, 데이터 해석, 데이터 정합성, 시계열 데이터 관리 등을 통한 사용자 편의 및 작업시간 단축 등 효과적은 시공 관리 가능
- 세계 건설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2.9~4.8%로 성장 전망
- 건설드론은 활용도와 산업성, 발전 가능성을 인정 받아 연평균 51.7%의 높은 성장 예측