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술개요
- 반려동물의 체중을 비롯한 체질량 지수 등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
기존기술 한계
-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반려동물의 체중 감량을 위해 노력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를 보지 못함
- 반려동물의 체중을 잴 때 움직이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 존재
- 종래 기술에는 체질량 지수 같은 건강 관련 정보 산출 기능 미존재
개발기술 특성
- 반려동물이 서 있는 상태에서 체고 및 체중을 측정하고, 측정한 체고 및 체중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체중계 기술
- 상기 체중계에 반려동물이 서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촬영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 및 반려동물의 체고 및 체중 데이터를 이용하여 체질량 지수를 산출
- 산출한 체질량 지수 데이터를 표출하거나 상기 체중계에 전송하는 컴퓨터를 포함
- 허리 둘레 및 엉덩이 둘레를 측정하고, 이를 이용하여 체질량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현재 건강 상태 파악 및 건강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
시장동향
- 2022년 국내 반려동물 용품 시장 규모(고양이 모래, 영양제 및 미용용품 등 푸드 및 서비스제외)는 8437억 원으로 집계
→ 이 시장은 2023년 8779억 원으로 예상되며 2019년과 비교해 16% 커질 전망
기술동향
- 2020년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 비중은 27.7%에 달하며, 펫케어 시장은 2016~2020년까지 연평균증가율 8.4%를 기록
- 국내 펫케어용품 시장은 스타트업을 포함한 개인 및 중소기업이 산업 생태계의 발전을 주도함.
- 관련 특허 출원인 분석 결과 대기업은 2%에 불과한 반면 개인 및 중소기업의 비중은 88%에 달함
- 특히 사물인터넷(IoT)을 접목시킨 펫테크 분야 반려용품의 특허출원이 확대되는 추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