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로그인
  2. 회원가입
충북청주강소특구
사업화유망기술
기술상담신청
기술탐색문의
지원사업안내

사업화유망기술

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나노시트 FET 소자 및 그 제조 방법
분야
전자/전기

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나노시트 FET 소자 및 그 제조 방법

보유기관 및 연구자 : 충북대학교 박준영 교수

개발상태
4/9

기술완성도

TRL09

사업화

  •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
TRL08

시작품 인증/
표준화

  • 일부 시제품의 인증 및 인허가 취득 단계
    -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, 의약품의 경우 식약청의 품목 허가 등
TRL07

Pilot 단계 시작품
신뢰성 평가

  • 시작품의 신뢰성 평가
  • 실제 환경(수요기업)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
TRL06

Pilot 단계 시작품
성능 평가
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한, 파일로트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
  • 시작품 성능평가
TRL05

시제품 제작/
성능평가

  • 개발한 부품/시스템의 시작품(Prototype) 제작 및 성능 평가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하지 않고, 우수한 시작품을 1개~수개 미만으로 개발
TRL04

연구실 규모의
부품/시스템 성능평가

  • 연구실 규모의 부품/시스템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
  • 실용화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확보
TRL03

연구실 규모의
성능 검증

  • 연구실/실험실 규모의 환경에서 기본 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
  • 개발하려는 시스템/부품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
  • 모델링/설계기술 확보
TRL02

실용 목적의 아이디어/
특허 등 개념 정립

  •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 특허 등 개념 정립
TRL01

기초 이론/
실험

  • 연구과제 탐색 및 기회 발굴 단계
특허정보
  • 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나노시트 FET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(No : 10-2501386)

거래 조건 :
추후 협의
상담신청 기술문의

기술 개요

- 나노시트(Nanosheet) FET(field-effect transistor) 소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

기존기술 한계

- 나노시트 FET(Nanosheet FET)는 게이트(gate)가 채널(channel)의 전면을 둘러싸고 있는 둥근 나노와이어(nanowire) 형태를 가짐.
- GAA(gate-all-around) FET 보다 더 진보된 형태의 소자 구조로서, 채널을 여러 개의 다리 형태로 구현한 MBC(Multibridge-Channel) FET가 대표적.
- 나노시트 FET는 채널의 구조가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의 나노시트 형태로 제작되어, 게이트와 채널이 접하는 면적 및 출력성능을 극대화 가능.
- 그러나 나노시트 FET에서의 게이트 절연막(SiO2 및 high-kdielectric)은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 소자의 신뢰성에 문제가 우려됨.

개발기술 특성

-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의도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,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여 소자를 자가 치유할 수 있는 나노시트 FET 제조 방법 제공
- 3개의 채널을 포함하는 나노시트 FET 소자에 대해 전류 어닐링 공정을 수행함으로써, 소자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고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 존재.
- 나노시트 FET 소자에서 내부가 진공 상태인 이너 스페이서 구조를 제안함으로써, 전류 어닐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 존재.

시장동향

-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PC/모바일 등 IT 기기 발달과 함께 시장규모도 지속 확대됨.
-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본격화로 AIㆍIoTㆍ자율주행차 등의 발달로 시장규모도 확대되고 있음

기술동향

- 반도체는 4차 산업 혁명의 모든 분야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미래 기술의 핵심
- 반도체 기술 발전은 인공지능의 성능 향상을 견인하고, 인공지능의 가능성에 대한 발견으로 많은 반도체 기업들이 인공지능 산업에 참여하고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