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로그인
  2. 회원가입
충북청주강소특구
사업화유망기술
기술상담신청
기술탐색문의
지원사업안내

사업화유망기술

중대동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질환모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중대동물의 아토피 피부염 질환모델
분야
보건/의료

중대동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질환모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중대동물의 아토피 피부염 질환모델

보유기관 및 연구자 : 충북대학교 강병택 교수

개발상태
4/9

기술완성도

TRL09

사업화

  •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
TRL08

시작품 인증/
표준화

  • 일부 시제품의 인증 및 인허가 취득 단계
    -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, 의약품의 경우 식약청의 품목 허가 등
TRL07

Pilot 단계 시작품
신뢰성 평가

  • 시작품의 신뢰성 평가
  • 실제 환경(수요기업)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
TRL06

Pilot 단계 시작품
성능 평가
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한, 파일로트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
  • 시작품 성능평가
TRL05

시제품 제작/
성능평가

  • 개발한 부품/시스템의 시작품(Prototype) 제작 및 성능 평가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하지 않고, 우수한 시작품을 1개~수개 미만으로 개발
TRL04

연구실 규모의
부품/시스템 성능평가

  • 연구실 규모의 부품/시스템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
  • 실용화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확보
TRL03

연구실 규모의
성능 검증

  • 연구실/실험실 규모의 환경에서 기본 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
  • 개발하려는 시스템/부품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
  • 모델링/설계기술 확보
TRL02

실용 목적의 아이디어/
특허 등 개념 정립

  •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 특허 등 개념 정립
TRL01

기초 이론/
실험

  • 연구과제 탐색 및 기회 발굴 단계
특허정보
  • 중대동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질환모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중대동물의 아토피 피부염 질환모델 (No : 10-2371562)

거래 조건 :
추후 협의
상담신청 기술문의

기술개요

- 중대동물의 아토피 피부염 질환모델으로써 집먼지 진드기를 감작시킨 뒤 집먼지 진드기 환경에 노출된 중대동물의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확인
- 상기 방법으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제공 가능

기술개발현황

- 아토피 피부염은 알레르기성 질환으로 건조한 피부 가려움증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남
- 사람과 동일한 질환을 갖는 동물 질환 모델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확인함으로써 질환 해결 방안 개발
- 아토피 피부염은 스테로이드제, 항히스타민제, 항생제 등이 그 치료에 주로 사용됨
-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이 발생하고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닌 증상 완화라는 점에서 그 한계가 명확

기술의 차별성 및 우수성

- 집먼지 진드기가 감작된 중대동물은 사육장에 집먼지 진드기를 도포함으로써 심화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확인 가능
- 혈청 내 알러젠 특이 IgE 항체의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중대동물의 아토피 피부염 질환모델로서 유용하게 사용 가능

시장동향

- 동물 질환 모델 시장은 쥐의 경우 2017년 803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9.9%씩 성장하여 2022년 1억2890만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
- 토끼의 경우 2017년 596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8.4%씩 성장하여 2022년 892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