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로그인
  2. 회원가입
충북청주강소특구
사업화유망기술
기술상담신청
기술탐색문의
지원사업안내

사업화유망기술

PPG 신호를 이용한 저전력 심박수 측정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
분야
전자/전기

PPG 신호를 이용한 저전력 심박수 측정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

보유기관 및 연구자 : 충북대학교 홍종필 교수

개발상태
4/9

기술완성도

TRL09

사업화

  •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
TRL08

시작품 인증/
표준화

  • 일부 시제품의 인증 및 인허가 취득 단계
    -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, 의약품의 경우 식약청의 품목 허가 등
TRL07

Pilot 단계 시작품
신뢰성 평가

  • 시작품의 신뢰성 평가
  • 실제 환경(수요기업)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
TRL06

Pilot 단계 시작품
성능 평가
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한, 파일로트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
  • 시작품 성능평가
TRL05

시제품 제작/
성능평가

  • 개발한 부품/시스템의 시작품(Prototype) 제작 및 성능 평가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하지 않고, 우수한 시작품을 1개~수개 미만으로 개발
TRL04

연구실 규모의
부품/시스템 성능평가

  • 연구실 규모의 부품/시스템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
  • 실용화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확보
TRL03

연구실 규모의
성능 검증

  • 연구실/실험실 규모의 환경에서 기본 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
  • 개발하려는 시스템/부품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
  • 모델링/설계기술 확보
TRL02

실용 목적의 아이디어/
특허 등 개념 정립

  •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 특허 등 개념 정립
TRL01

기초 이론/
실험

  • 연구과제 탐색 및 기회 발굴 단계
특허정보
  • PPG 신호를 이용한 저전력 심박수 측정 방법 및 이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 (No : 10-1850803)

거래 조건 :
추후 협의
상담신청 기술문의

기술개요

- 심박수 측정 과정에서 측정되는 혈류량 신호의 알고리즘 처리에 관한 것.
- 신체 부위에 따른 광 혈류량을 신호 변환하여 심박수로 나타내는 알고리즘에 관한 것.

기술개발현황

- 사물인터넷 센서 발달로 LED와 포토다이오드 광 검출기를 사용하며 신체 일부분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심박수를 알 수 있음.
- 기존의 PPG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굴곡 그래프로 나오며 볼록한 부분의 기울기를 구하고 기울기의 시간 간격을 평균하여 분당 심박수를 구함.
- 본 발명은 굴곡 그래프의 볼록한 부분의 최대값을 구하여 각각의 최대값의 시간 간격을 평균하여 분당 심박수를 구하는 방식임.

기술효과

- LED와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한 혈류량 측정 장치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음.
- 측정 신호의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고 측정 범위를 넓혀 보다 광범위하게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음.
- 웨어러블 장치 및 IoT 장치에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분당 심박수 값을 측정할 수 있음.

기술의 차별성 및 우수성

- LED와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한 혈류량 측정 장치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음.
- 측정 신호의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고 측정 범위를 넓혀 보다 광범위하게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음.
- 웨어러블 장치 및 IoT 장치의 PPG 센서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고 쉽고 빠르게 분당 심박수 값을 측정할 수 있음.

시장동향

- 전세계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매년 꾸준히 성장하였음.
- 2015년 4,158억 달러였으나 2020년 5,679억 달러로 연평균 6.4 %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.
- 지역별 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아시아 태평양 국가가 연평균 8.4 %로 가장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