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술개요
- 마우스에 대한 병원성이 증가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및 이를 이용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감염 모델 마우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.
기술개발현황
- 인플루엔자 A의 서브 타입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H5N8 바이러스는 우리나라에서 2014년부터 계속 발생함.
- 최근 3년 간 가금류의 살처분으로 약 2500억 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.
- 고병원성 H5N8과 비슷한 형질의 아종 H5N1과 H5N6의 경우 인체 감염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됨에 따라 H5 아종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짐.
- 백신의 개발 과정 중 전 임상단계에서 백신 보호 효능 평가를 위해 동물 모델의 바이러스 감염 실험이 필수적임.
- 신속하고 효율적인 백신 개발을 위한 인플루엔자 H5N8 바이러스 감염 모델 마우스 제조를 위한 H5N8 바이러스의 개발이 필요함.
기술효과
- 마우스에 대한 병원성이 증가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H5N8 바이러스 주.
- 이를 이용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H5N8 감염 모델 마우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.
기술의 차별성 및 우수성
- 마우스에 대한 병원성이 증가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H5N8 바이러스 주.
- 이를 이용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H5N8 감염 모델 마우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.
- 본원 발명의 H5N8 바이러스 주는 바이러스 중합효소 유전자에 도입된 돌연변이에 의해 바이러스 중합효소 활동량이 증가하여 마우스에 대한 병원성이 증가됨.
- 이를 이용하여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H5N8에 대한 백신 개발이 용이해짐.
시장동향
- 미국 시장조사 기관인 BCC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백신 시장 규모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함.
- 세계 DNA 백신 시장 규모는 2013년 200만 달러에서 2019년 3,000만 달러로 급격하게 성장하였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