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로그인
  2. 회원가입
충북청주강소특구
사업화유망기술
기술상담신청
기술탐색문의
지원사업안내

사업화유망기술

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차선 인식 시스템 및 방법
분야
전자/전기

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차선 인식 시스템 및 방법

보유기관 및 연구자 : 충남대학교 최경주 교수

개발상태
4/9

기술완성도

TRL09

사업화

  •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
TRL08

시작품 인증/
표준화

  • 일부 시제품의 인증 및 인허가 취득 단계
    -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, 의약품의 경우 식약청의 품목 허가 등
TRL07

Pilot 단계 시작품
신뢰성 평가

  • 시작품의 신뢰성 평가
  • 실제 환경(수요기업)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
TRL06

Pilot 단계 시작품
성능 평가
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한, 파일로트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
  • 시작품 성능평가
TRL05

시제품 제작/
성능평가

  • 개발한 부품/시스템의 시작품(Prototype) 제작 및 성능 평가
  • 경제성(생산성)을 고려하지 않고, 우수한 시작품을 1개~수개 미만으로 개발
TRL04

연구실 규모의
부품/시스템 성능평가

  • 연구실 규모의 부품/시스템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
  • 실용화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확보
TRL03

연구실 규모의
성능 검증

  • 연구실/실험실 규모의 환경에서 기본 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
  • 개발하려는 시스템/부품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
  • 모델링/설계기술 확보
TRL02

실용 목적의 아이디어/
특허 등 개념 정립

  •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 특허 등 개념 정립
TRL01

기초 이론/
실험

  • 연구과제 탐색 및 기회 발굴 단계
특허정보
  •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차선 인식 시스템 및 방법 (No : 10-1951683)

거래 조건 :
추후 협의
상담신청 기술문의

기술개요

- 입력된 영상에서 차선들을 인식하고 인식한 상기 차선을 분류하여 차로의 수를 결정하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차선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.

기술개발현황

-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이나 차선 유지와 같은 안전운전 보조 시스템, 차량 자동 제어시스템 등이 개발되어 지능형 차량의 실용화가 더욱 급속하게 진행됨.
- 주행 차선의 검출은 안전 운전과 직결되므로 차선 위치를 추정하고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센서들로 정확한 주행차선을 검출하고 있음.
- 이미지 센서, 레이더 또는 라이다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차선의 검출, 차량 전방 물체 인식을 위해 단독이나 융합된 형태로 지능형 차량제어 시스템 구현에 사용되고 있음.
- 종래 기술은 차선 이외의 다른 차선의 검출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.

기술효과

- 입력된 영상에서 차선들을 인식하고 인식한 차선들을 분류하여 차로의 수를 결정할 수 있음.

기술의 차별성 및 우수성

- 차선 인식 시스템이 검출된 직선들의 교점을 구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차선 인식 시스템이 검출된 직선들 및 소실점을 이용하여 차선들을 결정함.

시장동향

- 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는 2017년 23억 6,800만 달러에서 2023년 143억 6,200만 달러로 연평균 41 % 성장 전망.
- Lv.3 수준은 ('20년)약 63.9억 달러 -> ('35년)약 4,905억 달러로 전망.
- Lv.4 수준은 ('20년)약 6.6억 달러 -> ('35년)약 6,299억 달러로 전망.
- 국내의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는 2017년 972억 원에서 2023년 2조 4,283억 원으로 연평균 41 % 성장 전망.
- Lv.3 수준은 ('20년)약 1,493억 원 -> ('35년)약 11조 4,610억 원으로 전망.
- Lv.4 수준은 ('20년)약 15억 원 -> ('35년)약 14조 7,183억 원으로 전망.